[4차산업행정뉴스=4차산업행정뉴스기자] 차량 17대가 지하차도에 갇혀 14명이 사망한 충북 청주시 오송읍 궁평 제2지하차도 차량 침수 사고 이후 각 지방자치단체가 진입차단시설 설치를 서두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각 지자체에 따르면 서울시는 침수 우려가 있는 지하차도 전체에 진입차단시설 설치를 서두르고 있으며 당장의 재난에 대비해 집중호우 때 지하차도 진입 차단을 안내하는 LED 표지판 등의 임시시설을 보강할 계획이다. 서울시 관내 163개 지하차도 가운데 침수 우려가 있다고 분류된 곳은 39개다. 이 중 진입차단시설을 갖춘 건 현재 19개에 불과하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주변에 하천이 흐르고 월류해 침수 가능성이 있는 지하차도는 없다고 확인됐지만 혹시 모를 침수 사고에 대비해 진입차단설비를 조속한 시일 내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배수펌프 시설을 갖춘 69개 지하차도에도 단계적으로 진입차단시설을 설치할 방침이다. 배수펌프 용량, 침수 감지 장치, 배전반, 비상 발전기 등 관련 시설을 점검하는 동시에 하천·산 등 주변 여건을 살펴 침수방지시설 설치가 필요한 지하차도가 추가로 있는지도 살피고 있다.
지자체들은 2020년 7월 3명이 숨진 부산 초량 제1지하차도 침수 사고 이후 진입차단시설 설치를 본격화했다. 하지만 예산, 시민 불편 등의 이유로 설치율은 지자체마다 천차만별이다.
지하차도를 통제할 때 대부분은 관리소 직원이 경찰과 함께 현장에 나가 차량 통행을 막기 때문에 이번 오송 지하차도 사고와 같이 순식간에 물이 차면 대응이 늦을 수밖에 없다. 관리소에서 원격 조정을 할 수 있고 수위가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작동하는 진입차단시설을 설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이유다.
침수 위험이 있는 지하차도 20개 중 진입차단시설이 있는 곳은 4개뿐인 대전시는 행정안전부 특별교부세 등 예산 확보를 통해 지속해서 해당 시설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종시는 홍수와 침수 관련 위험에 대한 다각적인 검토를 통해 위험한 지하차도 순으로 진입차단시설을 최대한 빨리 확충해 가기로 했다. 진입차단시설을 갖춘 지하차도가 침수 위험이 있는 곳의 절반도 되지 않는 충북 역시 시설 설치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전남은 지하차도 침수 사례가 없지만 오송 지하차도 사고를 계기로 전체 지하차도에 진입차단시설을 설치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강원 역시 오송 지하차도 사고를 계기로 도내 시설에 대해서도 진입차단시설 설치를 검토해야 할 필요성을 절감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