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차산업행정뉴스=서영빈기자]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는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와 함께 ‘지역특화 프로젝트『레전드 50+』통합공고’를 했다.
『레전드(Region+end)* 50+』는 지역 고유의 특색과 강점을 살린 지역별 특화 프로젝트를 광역자치단체에서 기획하면, 중소벤처기업부가 정책수단을 결집해 3년간(’24~’26) 집중 지원하는 중소벤처기업부의 지역중소기업 육성 대표 정책 브랜드다.
지역을 뜻하는 Region과 종결(끝)의 의미를 지닌 end의 합성어로서 지역특화 프로젝트를 통해 지역기업 육성, 지역의 현안과 미래 먹거리를 끝까지 지원하겠다는 의미
금번 통합공고는 2024년도 제1호 공고로서『레전드 50+』프로젝트(붙임1)의 성공적인 추진을 통해 한국경제에서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①수출액, ②매출액, ③비수도권 매출액 비중을 ’27년까지 50% 이상 달성하겠다는 중소벤처기업부의 강한 의지가 담겨있다.
① 수출액(2019) : 총수출 5,422억달러 가운데 중소기업 직·간접 수출 2,132억달러(39.3%)
② 매출액(2021) : 총매출 5,660조원 가운데 중소기업 매출액 3,017조원(46.8%)
③ 비수도권 매출액(2021) : 중소기업 총매출 3,017조원 가운데 비수도권 1,251조원(41.6%)
17개 광역자치단체별로 지역의 강점을 살릴 프로젝트가 한 개씩 선정되어 추진되고, 광주·경기·충북·경남에서는 두 개 프로젝트가 선정되어 지역의 강소기업 육성과 미래 먹거리 창출에 이바지하게 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이에 대한 지원과 성과 달성을 위해 정책자금, 스마트공장, 혁신바우처, 수출바우처 등의 핵심 정책수단을 올해 2,790억원 규모로 프로젝트 참여기업에 우대 지원한다.
여기에 더해 17개 광역자치단체에서도 기술닥터, 인력양성, 인프라 구축 등에 약 800억원(’24년)을 지원*하고,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창조경제혁신센터 등의 지역혁신기관들의 다양한 정책 수단도 연계 지원할 방침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작년 11월 2일 제1회 지역혁신대전에서 17개 광역자치단체와 『레전드 50+』프로젝트 추진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만큼, 지방정부 및 지역혁신기관과의 협업을 더욱 강화하여 지역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반드시 일궈내겠다는 방침이다.
21개 지역특화 프로젝트의 사업내용, 지원대상, 지원내용, 지원조건 등은 통합공고 이후(1.8(월)~12(금)) 실시되는 프로젝트별 공고*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프로젝트에 참여를 희망하는 지역중소기업은 프로젝트별 공고 시 참여신청서를 작성하여 주관기관에 제출하면 선정평가 과정을 거쳐 프로젝트에 참여할 기회를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