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경상남도농업기술원(원장 정찬식)은 19일 흑돼지 품종인 난축맛돈 소개 및 경제형질* 개량 교육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경제형질) 가축의 유전적 특성 중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을 의미한다. |
[4차산업행정뉴스=홍은정기자] 경상남도농업기술원(원장 정찬식)은 19일 흑돼지 품종인 난축맛돈 소개 및 경제형질* 개량 교육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경제형질) 가축의 유전적 특성 중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을 의미한다.
이번 교육은 도내 흑돼지 사육 농가와 도·시군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우수 품종의 특성과 사육 방법, 그리고 경제형질 개량 방안에 대해 심층적인 강의와 토론이 이루어졌다.
흑돼지 ‘난축맛돈’ 품종을 개발한 조인철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연구소 연구관을 초빙해, 품종의 특성과 경제적 가치 향상 방안에 대한 강의가 진행되었다.
특히, 사양 관리 기법과 번식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제공되었으며, 참석자들과 질의응답을 통해 농가들이 현장에서 겪고 있는 문제점과 해결책을 나누는 시간도 마련되었다.
현재 전국적으로 흑돼지는 약 19만 마리가 사육되고 있으며, 그중 경남은 약 5만 2천 마리로, 내륙 지방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흑돼지는 백돼지보다 육질과 맛이 뛰어나, 양돈산업에서 틈새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다만, 백돼지에 비해 사육 기간이 길고 새끼 수가 적어 생산성에서 한계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신품종 도입이 필수적이다.
이번에 소개된 ‘난축맛돈’은 기존 재래 흑돼지의 문제점을 개선한 품종으로, 빠른 성장과 향상된 번식 능력을 자랑한다.
출하 시기는 약 170일로 단축되며, 번식력도 평균 10.9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또한, 근내지방 함량이 10.60%로 기존 재래 흑돼지보다 육질이 우수해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생산성과 품질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어, 흑돼지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품종으로 평가받고 있다.
노치원 기술보급과장은 “경남 흑돼지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신품종 도입 등을 통해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현장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사육 농가들은 이번 교육을 통해 난축맛돈 품종의 특성과 사양 관리 방법에 대한 이해를 높였으며, 이는 흑돼지 품질 향상과 생산성 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