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차산업행정뉴스=4차산업행정뉴스기자] 우리나라 국민이 느낀 ‘사회갈등’ 정도가 2018년 조사 이래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이 발간한 ‘사회통합 실태진단 및 대응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6~9월 만 19~75세 성인 3011명을 대상으로 한 2024 사회통합 실태조사에서 우리 사회의 갈등도는 4점 만점에 3.04점으로 나타났다.
사회 갈등의 심각 정도에 대한 응답은 2018년 2.88점, 2019년 2.9점, 2021년 2.89점, 2022년 2.85점을 기록하다가 2023년(2.93점)과 2024년(3.04점)에 2년 연속 상승했다.
갈등 유형 가운데 응답자들이 가장 심각하게 여긴 것은 진보·보수 간 이념 갈등이었다. 해당 항목 갈등도는 2018년엔 3.35점이었다가 2023년 3.42점, 지난해엔 3.52점으로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다.
이어 수도권과 지방의 지역 간 갈등 3.06점,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갈등 3.01점, 노사 갈등 2.97점, 빈부 갈등 2.96점 등이 뒤를 이었다.
사회통합에 대한 인식은 지난해 기준 10점 만점에 4.32점이었다. 사회통합도는 코로나19가 전국에 확산했던 2021년 4.59점으로 가장 높았다가 이후 2년 연속 감소 추세를 보였다. 2024년에는 다시 소폭 회복해 증가세로 돌아섰다.
정부에 대한 신뢰도는 사법부, 행정부, 입법부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사법부를 신뢰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2014년 32.50%에서 지난해 43.65%로 꾸준히 상승했다.
행정부에 대해서는 39.07%가 신뢰한다고 답했다. 행정부 신뢰도는 2014년 35.10%에서 2021년 최고치인 47.91%를 기록했다가 2023년과 2024년 연속으로 감소했다.
입법부 신뢰도는 셋 중 가장 낮은 24.59%에 그쳤다. 2014년보다는 6% 포인트가량 상승한 수치다.
국책연구기관인 보사연은 2014년부터 매년 사회통합 실태조사를 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조사는 이주민과 관련한 사회통합 인식에 초점을 맞춰 이뤄졌다.
조사 결과 한국어와 한국의 정치 및 법을 존중하는 것이 국민 정체성의 중요한 요소라고 여기는 비율은 2003년 77.3%에 비해 2024년 93.0%로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동안 ‘한국에서 태어나는 것이 한국인으로 간주되는 데 중요하다’는 응답은 81.4%에서 48.7%로 크게 줄었다.
직장동료로 받아들일 수 있는 이주민은 이주노동자라는 응답이 38.7%로 가장 높았다. 이어 결혼이주민이 37.0%, 재외동포 36.5%, 영주권 34.6%, 북한이탈주민 34.0%, 난민 24.1% 순이었다.
이웃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이주민은 난민이 45.1%로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했다. 북한이탈주민이 41.2%, 이주노동자 37.9%, 재외동포 37.3% 등이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