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차산업행정뉴스=서정용기자] 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는 ’24년도 국내 항공사 등 항공업계 안전투자 규모가 총 6조 1,769억원으로 나타났으며, 전년(5조 8,445억원) 대비 3,324억원(5.7%)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결과는 「항공안전법」에 따른 ‘항공안전투자 공시*’ 제도에 따라 항공운송사업자 16개사와 공항운영자 2개사를 포함한 총 18개 항공교통사업자가 공시한 ’24년도 안전투자 실적을 종합한 것이다.
이러한 안전투자 확대 기조는 ’25년과 ’26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며, 각각 10조 2,079억원과 10조 6,594억원의 투자가 계획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주요 안전투자 항목을 보면, 정비비용은 3조 6,100억원으로, 전년(2조 9,400억원) 대비 크게 증가(23%↑, 6,700억) 하였으며, 사전 정비비용인 계획정비 비용이 전체의 86%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항공기 운항 전 예방 차원의 사전 정비비용은 86.4%(3조 1,200억), 운항 중 고장ㆍ결함에 대한 사후 정비비용은 13.6%(4,900억)를 차지
엔진ㆍ부품 구매는 1조 5,700억원으로, 전년(1조 1,300억원) 대비 18.9%(2,500억) 증가하였으며, 이는 예상치 못한 고장ㆍ결함에 대비하여 예비 부품을 확보하기 위해 투자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년항공기 교체' 항목의 투자액은 5,347억원으로 전년 투자액 11,921억원 대비 큰 폭(55.1%)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금년에는 투자 총액뿐 아니라 '1만운항당 투자액' 등 항공사별 운항 규모를 고려한 표준화된 지표를 도입하여, 국민들이 항공사 간의 투자 수준을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현장의 의견을 반영하여 항공안전투자 공시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고, 국민에게 더욱 투명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제도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항공기 신규 도입' 항목을 신설하여 저기령 항공기의 도입을 장려하고, △안전 관련 '인건비 인정 범위'를 항공정비사뿐만 아니라 운항승무원, 객실승무원, 운항관리ㆍ통제담당 등 안전 영역으로 확대하여 실제 안전 활동에 대한 투자 실적을 폭넓게 반영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 유경수 항공안전정책관은 “안전투자 공시를 통해 항공사들이 선제적으로 안전체계 개선분야를 발굴하여 실질적인 투자를 하도록 유도하는 등 자율적인 안전경영 문화가 정착되도록 정책적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