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행정뉴스=임영지기자] 서울시는 뜻하지 않은 임신, 경제적 부담, 사회적 편견 등으로 출산과 양육을 포기하려는 '위기 임산부'를 보호하기 위해 9월부터 철저한 익명성을 원칙으로 하는 통합지원에 나선다고 17일 밝혔다.
'위기 임산부'는 경제·심리·신체적 어려움 등으로 출산 및 양육에 갈등을 겪고 있는 임산부를 말한다. 그동안 위기임산부는 △임신·출산 사실이 밝혀질까 두려워 정책 이용을 기피하고 △지원을 받고자 해도 정보 접근이 어려워 포기하거나 △소득 기준 등의 자격 제한으로 정책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 등으로 복지 사각지대에 속해 조기 발굴과 지원이 어려웠다.
서울시의 '위기임산부 통합지원사업'은 △전화‧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한 '24시간 전용 상담창구'를 운영하고 △상담을 통해 파악한 위기임산부 개개인의 상황에 필요한 공공‧민간 서비스를 연계해준다. △연계 이후엔 1:1 지속 관리로 산모와 아이의 안전을 책임진다.
모든 과정은 철저하게 익명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신분 노출에 대한 두려움 없이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소득기준, 미혼‧기혼 여부 등과 상관없이 누구나 신속하게 보호‧지원을 받을 수 있다.
우선 시는 위기임산부의 지원 요청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24시간 전용상담창구를 개설하고, '위기임산부 통합지원사업단'을 꾸려 9월부터 운영을 시작한다. 상시 전문 상담인력을 3교대로 배치해 빈틈없이 지원하고 대상자의 선호에 맞춰 온‧오프라인 상담 채널을 다양화한다.
또한 위기임산부가 응급 상황에 처했거나 내방이 곤란한 경우에는 '긴급현장상담'을 병행한다. 사업단 내 '현장지원팀'을 배치해 위기임산부가 있는 곳으로 찾아가 상담하고 필요한 서비스를 지원할 계획이다.
상담 후에는 통합지원사업단에서 위기임산부 개인의 상황 및 의사를 반영해서 꼭 필요한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연계해준다. 충분한 대화와 숙려기간을 거쳐 출산 후 직접 양육하길 희망하는 경우 '미혼모자가족복지시설'이나 '서울시한부모가족지원센터'로 연계한다.
자격제한으로 시설 입소가 불가능하거나 익명으로 출산을 원하는 경우 '위기임산부의 집'으로 연계하고, 직접 양육이 곤란해 입양이나 시설보호를 희망하는 경우 '아동복지센터'로 연계한다.
시는 1:1 사후 모니터링을 통해 위기임산부 한 사람, 한 사람의 안전을 책임진다. 연계 후 1·3·6개월 차에 방문 또는 전화 상담을 통해 산모와 아동의 안전을 확인하고 기준에 충족될 시 종결 처리한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는 '위기임산부 통합지원사업' 운영을 위해 18일부터 8월2일까지 전문민간기관을 공모한다. 심의를 거쳐 수행기관을 선정하고 9월부터 시범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최근 심각한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출생미신고영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도 개선과 함께 위기임산부를 보호하고 지원하려는 노력이 이뤄져야 한다"며 "경제적 부담과 사회적 편견 등으로 어려움에 처한 위기임산부가 홀로 고민과 짐을 짊어지지 않도록 통합지원체계를 제대로 준비하고 지원대책도 계속해서 보완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