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제공 뉴스1 |
[4차산업행정뉴스=서정용기자] 환경보건시민센터와 서울환경운동연합 등은 20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달 말까지 전국 가습기 살균제 피해 신고자는 7천8백77명이라고 밝혔다.
단체들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가습기 살균제 피해 전국 현황’ 보고서를 발표하며, 피해자 가운데 사망자는 천8백35명으로 신고자 4명 중 1명 꼴로 숨졌다고 지적했다.
또, 신고자 가운데 ‘가습기 살균제 피해구제 특별법’에 따라 구제 대상자로 인정받은 사람은 5천176명으로, 전체 신고자의 66% 수준에 그쳤다고 밝혔다.
단체들은 “아직도 상당수의 신고자가 피해자로 인정받지 못했고, 피부질환 등 피해가 인정되지 않은 질환이 남아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구제가 인정돼도 정신적·경제적 피해를 포함한 배·보상이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SK케미칼·애경산업·이마트 등 가습기 살균제 제조 기업에 대한 형사 처벌을 촉구했다.
가습기살균제 사망 사건이 발생한 지 12년이 흘렀지만 제조·판매 기업에 대한 법적 처벌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환경단체가 엄벌을 촉구했다.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은 "가습기살균제 사망 사건이 알려진 지 12년이 지났지만 피해 구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올해 10월 한 달 사망자만 해도 8명이나 된다"고 말했다.
해당 기업들에 대한 형사 재판은 2021년 1심에서 살균성분(CMIT·MIT)에 대한 독성 확인이 제대로 안됐다는 이유로 무죄가 선고됐으며, 2심 선고는 내년 1월 11일 내려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