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차산업행정뉴스=하석현기자] 전주시가 후백제의 역사를 규명하고 전주를 고도(古都)로 지정하기 위해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댔다.
시는 19일 전주역사박물관 강당에서 왕도로서 전주의 도시구조와 체계를 알아보고 선도사례를 공유하기 위한 ‘전주고도 지정의 적정성과 의미’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900년에 견훤이 전주를 후백제의 수도로 삼으며 37년간 통치했던 역사 기록과 그동안의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유적·유물을 통해 전주가 왕도로서 어떤 체계를 갖췄는지와 전주가 고도로서 가치와 의미를 지니는지를 살펴보는 시간으로 꾸며졌다.
이경찬 교수(원광대)의 ‘전주고도의 기본구조와 핵심영역’을 주제로 한 기조강연으로 문을 연 이날 학술대회는 5개의 주제 발표와 종합토론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진정환 국립진주박물관 학예연구실장은 ‘후백제 고도, 전주’를 주제로 한 발표에서 문헌 기록과 발굴 유적·유물을 통해 후백제 도읍 전주의 역사성과 상징성, 후삼국기 전주의 위상, 전주의 역사 문화 환경을 살펴보고 전주의 고도 지정 당위성에 대해 소개했다.
이어 차상민 전주시 학예연구사는 고대국가의 도성 체계와 외곽방어 사례를 토대로 도성 전주를 둘러싸고 있는 후백제 성곽 유적을 △금마권역 △도성권역 △서해안권역 △동부산악권역으로 구분하고 전주의 중요 교통로와 외곽 방어체계와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설명했다.
‘고도 지정의 성과와 방향성’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 김용희 국가유산청 사무관은 여러 고도 도시에서 지역 활성화를 위해 추진한 고도 보존육성 정책과 역사도시 경관 조성 성과를 통해 제도적·사업적인 측면에서 역사도시경관 보존육성 전략을 제시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