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차산업행정뉴스=서정용기자] 대통령에 의한 국가 내란 사태로, 온국민이 충격과 혼란에 빠졌습니다. 비상식적인 비상계엄 상황을 막아야만하는 국무회의에서, 제역할을 한 국무위원은 없었습니다.
국무위원들은 이에 대해 책임 통감하고 해결과 극복에 힘을 쏟아야 마땅합니다. 그러나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내란을 기회로 여긴듯, 직무를 강행하면서 내란에 동조했고, 방조했습니다.
12/3의 사태가 채 하루가 지나지 않은 12월 4일 오후 2시, 대구에서는 낙동강유역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 공청회가 열렸습니다. 강단은 대규모의 경찰력에 의해 점거되었고, 정작 주민들의 목소리는 전달되지 않았습니다.
12월 12일에는 한강유역 공청회가 강행되었고, 이 역시 환경부의 일방적 진행으로 파행됐습니다.
지난 11월 금강유역과 영산강섬진강권역 공청회장에서는 경찰들이 좌석을 차지하고 앉아 주민들의 참여를 방해했으며, 그 과정에서 경찰의 과잉 진압으로 주민들이 부상을 당하고 응급실로 실려 갔습니다.
신규댐 건설에 대한 지역 주민설명회는 주민들의 반대로 무산되기도 했습니다. 국가물관리기본계획, 유역물관리기본계획 등 상위 물정책에 신규댐 건설이 반영되어 있지도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경부는 신규댐 건설의 명분 마련을 위해 수자원관리계획에 신규댐 후보지를 욱여넣고, 공청회를 무리하게 강행했습니다. 수자원관리계획에 댐 건설 계획을 반영하는 것은 그 자체로 상위 물관리계획에 역행하는 일이며 절차적 정당성이 없습니다.
우리는 국가물정책과 물민주주의를 파탄으로 몰고가는 현 정부의 물정책을 두고볼 수 없습니다.
이에, 환경부의 신규댐건설 추진 전면 중단과, 내란 동조, 방조자 김완섭 환경부 장관의 즉각적인 직무 중지와 사퇴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합니다.
감천댐반대대책위원회 경기남부하천유역네트워크 경기중북부환경운동연합 경기환경운동연합 경남환경운동연합 광주환경운동연합 낙동강네트워크 남한강도민회의 녹색연합 대구환경운동연합 대전충남녹색연합 대전환경운동연합 보철거를위한금강낙동강영산강시민행동 서울환경연합 순천옥천댐건설반대시민모임 안동환경운동연합 여수환경운동연합 울산환경운동연합 원주환경운동연합 의령가례천댐반대대책위원회 전남녹색연합 전남환경운동연합 지천댐반대대책위원회 진주환경운동연합 창녕환경운동연합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 충남환경운동연합 환경운동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