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차산업행정뉴스=서정용기자] 서울시는 23일 열린 제2차 소규모주택정비 통합심의 소위원회에서 '중랑구 면목본동 63-1일대 모아타운 관리계획(안)‘ 외 3건에 대한 통합심의를 통과시켰다고 밝혔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심의에 통과된 안건은 ▲중랑구 면목본동 63-1일대 모아타운 ▲강동구 성내동 517-4일대 모아주택 ▲성북구 정릉동 385-1일대 모아주택 ▲광진구 화양동 32-12일대 모아주택으로 향후 사업추진 시 모아주택 총 1,919세대(임대 333세대 포함)가 공급될 예정이다.
![]() |
대상지는 기존 가로주택정비사업 조합 2개소가 설립되어 있는 지역으로, 관리계획상 총 4개 모아주택 사업구역 중 3개소가 조합설립(구역 확대)을 위한 동의 요건이 이미 확보되는 있는 등 주민들의 열의가 높은 지역으로 관리계획의 승인·고시 이후, 신속한 사업추진이 기대된다.
모아타운 관리계획 수립(안) 내용은 ▲사업추진구역의 용도지역 상향(제2종→제3종 일반주거지역) ▲정비기반시설 확충(도로, 공원) ▲모아주택 사업추진계획 및 디자인 가이드라인 ▲자율 정비 가이드라인 등이다.
‘자율 정비 가이드라인’을 통해 사업에 반대하는 간선도로변 상가 밀집 지역 등 통합개발이 어려운 지역의 토지등소유자들이 필요시 개별건축이 가능하도록 건축협정, 자율주택 정비방식 등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추진할 수 있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특히, 교통계획은 연접한 모아타운(면목본동 297-28) 및 재개발 구역(면목동 69-14 신속통합기획)과 연계하여 대상지와 간선도로(용마산로) 연결 방안을 마련하면서 통행여건과 보행환경도 함께 개선하는 종합적인 계획을 수립했다.
모아주택 개발규모에 따른 교통량 및 비상차량 통행을 고려하여 진입도로인 용마산로81길·겸재로54길(6m→12m)과 내부도로인 면목로56나길(6m→10m)은 확폭할 계획이다.
아울러, 개발이 안되는 주변 저층주거지를 배려하여 도서관 등 생활SOC 시설은 모아주택 사업시행시 공동이용시설로 확보될 수 있도록 권장하고, 공원과 인접한 부지는 주동 배치보다는 개방감 있는 커뮤니티 공간으로 계획을 유도하는 등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공간 구성 방안도 계획했다.
대상지는 면목역 인접(500m 반경) 및 면목선 개통 예정으로 교통이 우수하고 인접한 모아타운(2곳) 및 신속통합기획 주택재개발사업(1곳) 등이 추진되고 있는 지역으로, 이번 모아타운 지정 및 향후 모아주택 사업의 체계적인 정비를 통해 주민들에게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 및 지역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
해당 사업지는 협소한 도로 여건을 감안하여 대지안의 공지를 활용한 1.5m 보도를 조성해 보행환경을 개선하였으며, 대지안의 조경 기준을 완화하여 토지이용의 효율을 높였다.
또한, 대상지 가로변에 연도형 근린생활시설을 배치하여 가로 활성화를 유도했다.
![]() |
정릉동 385-1번지 일대는 공동주택으로 둘러싸인 2종(7층)일반주거지역으로, 지난 22년 7월 조합설립인가 후 금번 통합심의를 통과했다.
해당 사업지는 북악산 인근에 있는 중점경관관리구역으로 경관심의를 받아야 하는 사업지로, 주변과 조화를 이뤄야 하는 중요한 곳이며, 금번 심의를 통해 전면가로 및 내부순환로에서 개방감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저층과 고층의 복합 주동을 입체적으로 계획하여 주변지역과 어우러지도록 하였다. 또한, 대지안의 공지를 활용하여 보도를 설치하여 시민들의 보행환경이 개선될 수 있게 계획하였다.
![]() |
또한, 토지등소유자들은 이미 이주를 완료한 상황으로 향후 조속한 사업시행계획인가 및 착공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광진구 화양동 32-12번지 일대 가로주택정비사업(모아주택)’은 1개 동 지하1층/지상11층 규모로 ▲전체 세대수의 20% 이상 임대주택 건설에 따른 용적율 완화 ▲제2종 일반주거지역 내 층수 완화를 적용받아 공동주택 40세대를 공급할 예정이다.
대상지는 노후 주택・상가 등이 밀집한 지역으로 보행자의 원활한 통행을 위해 대지안의 공지를 활용하여 보행 및 휴게공간을 조성하였다.
대상지는 어린이대공원역(7호선)에 인접해 있어 교통이 양호하고, 이번 심의로 화양동 내에서 첫 모아주택 사업시행계획이 확정되어 주변 지역에 쾌적한 주거지 조성을 위한 모아주택·모아타운 추진에 활력를 제공하는 계기가 되어 향후 지역 여건도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