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차산업행정뉴스=4차산업행정뉴스기자] 대법원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공직선거법 사건 유죄 취지 파기환송 여론조사결과 ‘잘된 판결’이라는 응답(46%)이 ‘잘못된 판결’이라는 응답(42%)보다 오차범위 내에서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공개된 중앙일보·한국갤럽 여론조사에서 대법원의 이 후보 공직선거법 사건 파기환송 판결에 대한 견해를 물은 결과다. 대법원의 파기환송 판결 이틀 뒤인 지난 3일부터 이틀 동안 이번 조사에선 특히 젊은층 사이에서 ‘잘된 판결’이란 의견이 많았다. 20대(18~29세)의 경우 ‘잘된 판결’과 ‘잘못된 판결’ 응답이 51% 대 24%였고, 30대는 56% 대 30%로 긍정론이 압도적이었다.
20~30대는 부동층(선호 후보 없음·모름·응답거절) 비율이 높은 연령대인데, 부동층 사이에서 대법원 판결을 긍정하는 여론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허진재 한국갤럽 여론수석은 “20~30대는 아직 어떤 후보를 선호한다고 얘기하지 않는 비율이 높다”라며 “대법원 판결에 대해 ‘잘된 판결’이라고 이야기하는 20~30대 부동층 지지를 얼마나 끌고 올 수 있는지에 따라 보수 후보의 지지세 확산 정도가 결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후보가 가상 다자·삼자·양자 대결 모두에서 우위를 보이는 가운데, 보수 진영 단일화가 변수로 떠오를 전망이다. 가상 다자대결에서 이 후보(47%)는 2위 한덕수 무소속 예비후보(23%)를 24%포인트 차로 압도했다. 그러나 이 후보, 한 후보,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의 삼자대결 구도에서는 이 후보(49%)와 한 후보(33%)의 격차가 16%포인트 차로 좁혀졌다. 이 후보와 한 후보 양자대결에서는 51%, 41%로 10%포인트 차이까지 따라잡혔다. 이 후보와 김 후보가 양자대결하는 경우엔 각각 52%, 39%로 격차는 13%포인트로 나타났다.
보수 진영 후보가 단일화될수록 이 후보의 우위가 상대적으로 축소된다는 관측이 나온다. 장윤진 한국갤럽 여론분석실 부장은 “가상 양자대결에서 이 후보와 한 후보 선호도 격차가 생각보다 줄지 않았다”면서도 “무소속인 한 후보가 국민의힘 후보로 뛰게 되면 상황은 달라질 수 있다”고 평가했다.
무당층의 이 후보 지지세가 크지 않다는 것도 관전 포인트다. 이번 조사에서 무당층은 14%를 점했는데, 이 후보와 한 후보의 가상 양자대결에서 무당층만 놓고 보면 이 후보(32%)가 한 후보(37%)에 오히려 밀렸다. 이 후보, 김 후보 가상 양자대결에서도 이 후보는 무당층에서 앞섰지만 격차는 4%포인트(36%, 32%)에 그쳤다.
이번 조사는 중앙일보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3일~4일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1006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가상번호) 면접 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응답률은 17.8%(5667명 중 1006명)로, 지난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으로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값을 부여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최대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출처 문화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