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정치

여주시 신청사 건립 공사비 50억 포함 추경안 통과

4차산업행정뉴스 기자 입력 2025.08.26 13:16 수정 2025.08.26 13:39

여주시의회 지난21일 극적으로 매듭
갈등 불씨 여전… 화합 절실

 

 


[4차산업행정뉴스=4차산업행정뉴스기자]  여주시 신청사 건립을 둘러싼 집행부·시의회 여당과 야당간의 3개월간 정치적 대립이 지난 21일 극적으로 매듭지어졌다. 

 

신청사 우선 공사비 50억원이 포함된 추가경정예산안이 통과되며 20년 넘게 이어진 시민 숙원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


다만 특별조사위원회, 시민 공개토론회 등 갈등의 불씨는 남아있는 실정이다.

지난 18일 전격 탈당을 선언한 그는 예결위원장으로서 “정책의 일관성과 시민 다수가 원하는 신청사 건립을 당론이라는 이유로 반대할 수 없다”는 소신을 관철시켰다. 여주초등학교 부지 활용을 끝까지 타진했지만 현실적 한계를 인정하고 찬성표를 던졌다.

또한 민주당의 박시선 부의장은 “민주당 소속 시의원들은 신청사 이전 자체를 반대한 적이 없다. 6월 정례회 추경 삭감은 일괄입찰 방식의 적절성 검토를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고, 진선화 의원도 신중론을 폈지만 최종 찬성했다.

하지만 예산 통과 후 민주당 여주양평지역위원회는 ‘가업동 신청사 이전 반대, 기존 청사·여주초 활용 대안’ 입장을 분명히 하며 재공론화와 특별조사위원회 구성을 예고했다.

여주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가 지난 21일 제67회 임시회에서 신청사 건립 우선공사비 50억원이 포함된 2025년도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심사하고 있다. 이날 예결위는 찬성 5, 반대 1로 추경안을 원안 가결했다.


이 때문에 갈등의 불씨는 여전하다. 특별조사위와 시민 공개토론회가 현실화되면 또 다른 정치적 대립이 불가피해진다.

이와관련 이상숙(국) 의원과 시 집행부는 3년간 모든 법정절차를 완료했고 시민 75.7%가 찬성한 사업으로 다시 공론화하는 것은 무의미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가장 시급한 과제는 원도심 공동화 대책이다. 시는 여주초 부지 혁신지구 지정과 도시재생사업을 추진 중이지만 구체적인 청사진은 부족하다. 교육청과 협력한 평생교육 시설 유치 등 대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박 부의장이 제안한 ‘의회와 집행부 공동 관리감독 체계’는 긍정적으로 검토할 만하다. 1천520억원이라는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만큼 시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투명성 확보가 필수다.



저작권자 4차산업행정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