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티몬과 위메프 대표사진 |
[4차산업행정뉴스=서정용기자] 고객들에게 지탄을 받고 있는 티몬과 위메프가 대규모 미정산 사태에 대한 수사 중인 검찰이 두 회사 대표에 대한 첫 소환 조사 진행 중이라 주목되고 있다.
KBS보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티몬·위메프 전담수사팀(팀장 이준동 부장검사)은 19일) 오전부터 류광진 티몬 대표와 류화현 위메프 대표를 각각 횡령·사기 등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하고 있다.
류광진 대표는 검찰에 출석하면서 “티몬은 정산 지연의 징후가 없었다”면서 “본사 차원의 지원이 없어 뱅크런을 막지 못한 게 사태의 원인”이라고 말했다.
구영배 큐텐 대표가 자회사 큐익스프레스의 나스닥 상장을 위해 계열사에 ‘5% 역마진 프로모션’을 제안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큐익스프레스 물량을 늘리는 것은 큐텐 그룹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라면서 “큐익스프레스가 나스닥에 상장돼야 큐텐 그룹이 좀 더 성장할 수 있다는 말씀을 계속했다”고 밝혔다.
뒤이어 출석한 류화현 대표는 “조사가 끝나고 말씀드리겠다”고만 말한 뒤 청사로 들어갔다.
이들은 티몬과 위메프의 판매자 정산대금 약 500억 원을 모회사인 큐텐이 해외 쇼핑몰 ‘위시’를 인수하는 데 쓰도록 하고, 대금을 정상적으로 지급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돌려막기식으로 1조 4천억 원대 사기 영업을 한 혐의를 받고있다.
정부가 파악한 미정산 판매대금은 1조 2천790억 원, 피해 업체는 약 4만 8천 개에 이른다.
검찰은 이들을 상대로 판매 대금 지급 불능 상태를 언제 인지했는지, 티메프 정산대금을 위시 인수에 쓰도록 하는 의사결정 과정에 얼마나 관여했는지 등을 조사할 예정이다.
한편 공정위·소비자원, 티몬·위메프 피해구제 지원을 위해 2025년 예산안에 분쟁조정지원 3억5천만원, 소송지원 1억원 증액 편성 했다고 밝혔다.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한기정)와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은 티몬·위메프(이하 “티메프”) 사태 대응을 위한 소비자 피해구제 및 분쟁조정 사업비 4억 5천만원을 증액 편성해 ’25년도 정부예산안에 반영했다고 밝혔다.
최근 티메프의 판매대금 지연정산으로 인한 소비자피해를 구제하기 위해 접수한 집단분쟁조정에 여행·숙박·항공 분야 피해자 9,028명, 상품권 피해자 12,977명 등 총 22,005명에 이르는 소비자가 조정을 신청한 바 있다. 이는 소비자원 역사상 최대규모로 신속한 처리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소비자원은 여행ㆍ숙박ㆍ항공 분야 분쟁조정 신청에 대해서는 오는 12월까지 분쟁조정안을 마련하고, 상품권 분야 분쟁조정도 최대한 신속히 처리할 예정이다. 예산이 확정되면 분쟁조정을 위한 전담인력을 충원하고, 전산시스템을 개편하여 대규모 분쟁조정의 원활한 수행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집단분쟁조정 결정을 사업자가 거부하는 경우에는 변호사 선임 및 수임료 지급 등 소송을 지원하여 소비자의 피해구제를 위해 최선을 다할 예정이다. 이는 시간적ㆍ경제적 부담으로 인해 소비자가 직접 소송을 수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소비자원이 지원하여 최종적인 피해구제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은 “대규모의 피해가 발생한 티메프 사태와 관련하여 소비자 피해구제를 위한 실효성 있는 예산편성이 될 수 있도록 향후 국회와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윤수현 소비자원장도 “기관의 모든 역량을 동원해 소비자를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