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환경

산야를 허물고 있는 삼표산업 진상

서정용 기자 입력 2022.02.02 14:44 수정 2022.02.02 16:31

지역 주민들에게 반대 무마 조건으로 돈 보따리 풀어
심표산업 양주사업소 110억원 마을 운영과 발전기금 지원

 

삼표산업 산하 삼표기초소재(주)가 토석채취로 산이 반쪽으로 짤린 충남 예산군 시산리 현장/2018년 서정용기자 촬영

 

[4차산업행정뉴스=서정용기자]  고용노동부가 수사하고 있는 삼표산업은 전국의 산림이 우거진 임야를 대상으로 토석채취허가를 받으면서 지역주민들이 반대를 무마하는 조건으로 막대한 돈 보따리를 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자가 지난 2018년 삼표산업 환경훼손을 취재한 충남 예산군 시산리와 궐곡리 주민들은 예산군 대술면 시산리 채석장은 수 년 동안 토석 채취로 산이 반쪽으로 뚝 짤려 흉측한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고 성토했다.

 

삼표산업 산하 삼표기초소재 주식회사가 지난 2005년부터 토석채취허가를 받고 알락산과 토성산 줄기에서 뻗어 나온 산 능선을 무참하게 토석을 채취 하면서 자연환경이 훼손되고 산이 반으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개설된 등산로가 없어지고 산행이 통제돼 등산객들이 즐기던 자연경관도 크게 훼손되거나 생태계가 망가진 상태로 방치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속에 삼표산업은 2045년까지 산림청으로부터 연장 허가를 받고 토석채취를 하면서 주민들에게 보상비를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마을 A모씨는 토석채취 연장허가를 받을 당시 보상비 면목으로 100여가구에 가구당 2천800만원을 지원하고 본인은 1천400만원을 받았다고 2일 전화로 알려왔다.


                         양주 삼표산업 토석채취현장


한편 뉴시스 보도에 따르면 삼표산업 채석장으로 인해 지난 2007년에는 주민간 폭행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면서 "허가 연장에 따른 실익 즉 삼표산업이 주민 반발을 무마하기 위해 내놓는 지원금 보다는 환경오염과 주민 건강 및 주거환경 침해 등이 더 크다"고 지적했다.

지금까지 광적면 가납리 50억 7000만 원, 은현면 도하리 38억 9000만 원, 장흥면 2억 8000만 원 등 92억 원을 포함해 마을운영비와 발전기금을 110억 원 넘게 지급한 것으로 삼표산업 양주사업소 내부 자료에서 드러났다.

실제 공식 확인된 지급액 외에 산출되지 않는 추가 비용까지 감안하면 삼표산업 양주사업장을 유지하지 위한 부대비용은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삼표산업은 최근 4년간 7건의 산재 사망 사고를 냈다. 2021년 2건과 2022년2건 포함해서이다.

2021년 3월 지난 25일 강원 삼척시 사직동 삼표시멘트 삼척공장에서 일하던 68세 하청업체 노동자 A씨가 굴삭기에 깔려 사망했다.

9월에는 서울 성동구 삼표레미콘 공장에서 하청업체 노동자 B씨가 덤프트럭에 깔려 목숨을 잃었다.

2020년 5월 13일에는 '제2의 김용균 참사' 논란이 일었던 사건으로 같은 회사 소각로 컨베이어 벨트에 62세 하청업체 노동자 C씨가 협착돼 사망했다.

7월 31일 하청업체 노동자 D씨가 석탄 등을 담는 통 위에서 용접 작업을 하다 7m 아래로 추락해 목숨을 잃었다. 2020년 12월에는 하청업체 노동자 D씨가 삼표시멘트 자회사 석회석 광산갱도가 무너져 굴삭기 기사 1명이 숨을 거두었다.

2019년 8월에는 하청업체 노동자 E씨가 고소작업차 후진 유도 작업중 치여 사망했다.

지난 2020년 8월 노동부는 삼표시멘트 삼척공장에 특별근로감독 결과 위법행위 471건을 적발했다. 

 

2021년 4월에는 아예 '중대 재해 다발 사업장'으로 지정해 특별점검을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양주 토석채취 붕괴 사고로 인명피해가 발생해 엄중한 조치가 내려져야 한다고 주민들은 성토하고 있다.



저작권자 4차산업행정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