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차산업행정뉴스=4차산업행정뉴스기자] 작년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정국 혼란이 100일 넘게 계속되는 동안 정치 유튜버들이 때 아닌 '호황'을 누린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유튜브 통계 사이트 플레이보도에 따르면 작년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3개월간 가장 많은 슈퍼챗(현금후원)을 받은 국내 유튜브 채널은 보수성향 정치 채널 '신의한수'로 약 3억1000만원가량을 벌어들였다.
진보성향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은 같은 기간 약 2억4000만원, 보수성향의 'GROUND C 그라운드씨'와 '홍철기TV' 각각 약 1억4000만원, 1억3000만원을 벌어들였다.
월별 국내 슈퍼챗 순위 1위를 기록한 채널들도 1달간 1억원 이상의 슈퍼챗을 받은 경우는 드물다. 계엄·탄핵심판 정국에서 시청자의 관심과 후원이 정치 유튜버들에게 집중된 것으로 보이는 대목이다.
비상계엄이 선포된 작년 12월 뉴스공장이 한 달 만에 약 1억5000만원을 벌기도 했다.
이 채널을 운영하는 김어준씨는 12월 국회에 출석해 '한동훈 체포 후 사살' 등을 제보받았다고 주장하며 화제를 모았다. 윤 대통령이 체포된 1월에는 한남동 대통령 관저 인근에서 꾸준히 실시간 영상을 올린 신의한수가 1억6000만원가량을 슈퍼챗으로 벌어들였다.
'신 남성연대' 등 일부 유명 채널은 '수익 창출 정지', 일명 노란딱지 조치를 받으며 순위에 들지 못했으나, 대다수 정치 유튜버가 슈퍼챗 외에도 본인의 계좌번호를 영상에 띄워 개별 후원을 유도하는 것을 고려하면 이들의 수익도 적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대중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던 유튜버들의 약진도 두드러졌다. 윤 대통령 체포 정국 당시 관저 경내를 망원렌즈로 찍어 생중계한 진보성향 '고양이뉴스'는 1월 한 달에만 9000만원어치 슈퍼챗을 받았다. 같은 달 스스로 서울서부지법에 난입하고 경찰에 연행되는 장면까지 방송한 '젊은시각'은 5000만원가량 수익을 올린 것으로 추정된다.
'이슈가 곧 돈'인 상황에서 주목받기를 바라는 일부 정치 유튜버들이 현실에서 과격한 행동을 벌이기도 한다.
최근 헌법재판소 인근에선 다수의 탄핵 찬반 양측 유튜버들이 상대편에게 욕설을 내뱉고 소란을 피우는 모습을 스스로 생중계하는 모습이 심심찮게 목격된다. 대학가 탄핵 찬반 집회에서도 유튜버들이 방송을 켠 채 교내에 난입해 난동을 부려 문제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