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차산업행정뉴스=4차산업행정뉴스기자] 6·3 대선 출마를 선언한 한덕수 전 국무총리는 더불어민주당이 1일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 대한 탄핵을 추진한 것에 대해 "우리나라의 정치 수준이 정말 이 정도인가, 정말 실망했다"고 말했다.
또한 3년안에 개헌을 마치고 대통령직을 하야 하겠다고 기자들에게 밝혔다.
한 전 총리는 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대선 출마 선언을 한 뒤 기자들과 만나 "저는 정말 우리나라 정치 현실에 대해 비참함과 참담함을 느꼈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 전 총리는 "왜 민주당이 (한미) 2+2 관세 협상에 주력 부대로 활동하는 최상목 대행을 갑자기, 몇시간 동안 결정해서 탄핵을 해야 한다고 하는지 이해 못 하겠다"며 "그건 국가, 국민을 위한 일이 아니고 국가의 안정성, 대외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전혀 도움이 안 되는 조치"라고 지적했다.
이어 "만약 지금 최 대행이 그대로 탄핵(소추) 된다면 적어도 3개월 정도는 또 직무정지가 된다"며 "그냥 집에 가서 3개월 동안 계속 기다리고 있으라고 하는 건 아무 의미가 없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어제 사직서를 내고 제 임기가 자정까지였다"며 "그래서 최 대행 사표를 수리했다. 직무정지가 돼서 아무 일도 못 하면서 집에서 있어야 하는 것보다는 차라리 사직서 내고 나가서 우리 국가를 위해 무언가 일을 하는 것이 보람 있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한 전 총리는 탄핵당한 정부의 국무총리가 대선에 출마하는 게 명분이 없다는 지적에 대해선 "국민의 충격과 좌절, 어려움에 대해서 저도 여러 번 국회에서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렸다"며 "그러나 이제는 세상이 달라지고 있다"고 했다.
그는 "우리의 미래를 제대로 된 제도 개혁과 리더십에 의해 고치지 않으면 미래가 없다"며 "세계 속에서 성장하면서 존경받고, 사랑받는 나라, 또 젊은 층에 미래를 담보하는 나라를 만들기 위해 힘을 모아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막기 위해 어떤 역할을 했느냐는 질문엔 "(계엄 선포 전) 국무회의의 절차적, 실체적 흠결에 대해선 일관되게 흠결이 있었다고 증언했다"며 "제 개인에 대해선 국회가 제기한 탄핵 소추안에 대해서 (헌법재판소가) 기각 판결함으로써 사법 절차가 완료됐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인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와의 차별점으로는 "전 신뢰할 수 있는 안정적인 리더십을 가지고 있고, 실행할 사람"이라며 "헌법 개정에 찬성하는 분들과는 누구와도 협력하고 통합도 해나가겠다"고 했다.
이날 출마선언문에서 개헌을 최우선 순위로 언급한 것에는 "행정부와 입법부가 충돌하지 않고 협치할 수 있는 근본적 체제를 갖추지 않으면 우리나라에 미래, 희망은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설명했다.
한 전 총리는 "제가 대통령이 되면 대통령실에 바로 헌법개정 지원 기구를 세워 (개헌) 노력을 적극 뒷받침해 3년 안에 개헌을 마치고, 3년 뒤 국회의원 선거와 대통령 선거가 같이 이뤄지도록 하겠다"며 "그동안 많은 정치인이 이런 말을 했지만 아무도 시행하지 않았다. 왜냐면 집권하면 생각이 달라지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전 (대통령을) 3년 이상 하지 않겠다"며 "개헌을 3년 안에 이룬다면 그 안이라도 기꺼이 하야하고 새로운 세대가 미래를 이끌어갈 수 있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한 전 총리는 대통령이 되면 언론, 노동조합, 시민단체 등과 적극 소통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최대한 언론과 소통하겠다. 적어도 2주에 한 번씩은 기자회견을 하려고 한다"며 "노조, 기업, 시민단체와도 2주에 한 번씩 만나려고 한다. 공적인 일을 하면서도 소통을 열심히 하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