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정치

김문수 후보, 5·18 민주 묘지 참배

4차산업행정뉴스 기자 입력 2025.05.17 10:46 수정 2025.05.17 10:50

박관현 열사 묘역서 '눈물'…"너무나 아픈 추억 떠올라"
방명록 "오월 광주 피로 쓴 민주주의"…시민단체 항의
김용태 비대위원장, 박대출 사무총장 등 지도부 참여
민주묘지 참배 후 광주교도서 터 방문, 수감생활 회고

 

 


[4차산업행정뉴스=4차산업행정뉴스기자]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5·18민주화운동 45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국립 5·18민주묘지를 참배했다.

김 후보는 이날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를 찾아 헌화했다. 그는 방명록에 "오월 광주 피로 쓴 민주주의"라고 적었다.

김 후보는 5·18시민군 대변인 윤상원 열사 묘역과 전남대 총학생회장으로 단식 투쟁 중 옥중 사망한 박관현 열사 묘역을 참배했다. 김 후보는 박 열사 묘역에서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김 후보와 박 열사는 세월을 달리하지만 광주교도소 같은 독방에 수감된 인연이 있다.

박 열사는 1982년 4월 신군부에 의해 내란중요임무종사 등 혐의로 체포돼 고문을 받았고 광주교도소에 수감돼 50일간 단식투쟁을 하다 사망했다. 김 후보는 1986년 직선제 개헌 투쟁을 주도한 혐의로 구속된 뒤 1988년 10개월간 박 열사가 갇혔던 방에서 옥살이를 하다가 개천절 특사로 출소했다.

김 후보는 "제가 박관현 (열사) 방에서 수감 생활했다. 박관현 (열사가) 죽은 뒤 제가 들어가서 1년 동안 생활했다"며 "(박 열사가) 교도소에서 계속 단식하다가 지병으로 돌아가셨다"고 말했다. 이어 "(박 열사) 누님이 살아계신데 누님이 매년 오신다. 너무나 아픈 추억이 떠오른다"고 했다.

이번 참배에는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과 박대출 사무총장, 이정현·양향자 공동선거대책위원장, 인요한 호남특별위원장 등이 함께 했다.

김 후보 방문에 항의하는 광주지역단체들의 항의 시위도 벌어졌다. 광주전남촛불행동 소속 회원 5명은 김 후보가 5·18민주묘지에 도착하자 "내란세력은 지금 당장 광주를 떠나라", "내란세력은 지금 당장 사퇴하라", "내란세력 청산하고 민주정부 건설하자" 등 구호를 외치며 항의했다./출처 뉴시스




저작권자 4차산업행정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