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독자기고/ '공공 극장의 제작 극장화'에 대한 여러 의견이 올라오고 있다.

4차산업행정뉴스 기자 입력 2025.07.29 14:55 수정 2025.07.29 15:01

박정의 서울연극협회회장

 

 

                                  박정의 서울연극협회장

[4차산업행정뉴스=4차산업행정뉴스기자]   '공공 극장의 제작 극장화'에 대한 여러 의견이 올라오고 있다. 사실 그것만으로도 기쁘다.

앞으로 나눠야 할 이야기가 너무 많아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 지 감이 안잡히지만 천리길도 하나씩...

왜? 공공 극장의 제작극장화로 지원체계를 바꿔야하는가?

일단 현재의 보조금 사업 방식의 지원체계는 도저히 답이 없다는 것, 그래서 지원체계가 바뀌어야 한다는 것.

그런데 왜 공공극장이고, 왜 제작극장화 인가?

요즘 가장 대세 화두인 향유의 관점에서 보자. 전국민이 공연의 관람을 포함, 예술적 체험을 하기 위해선 예술가가 주민 곁으로 가야한다. 그것이 최선이다. 그리고 예술가가 주민을 만나는 거점이 전국 곳곳에 이미 존재하는, 이미 많은 예산을 사용했고, 사용하면서도 공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는 괴물, 바로 공공극장이다.


문예회관만 약 300개, 그외 공공 극장을 합치면 700개 가량 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주로 중대극장이 많고, 블랙 박스는 거의 없지만 규모에 있어서는 의외로 다양한 것 같다. 이 공간을 활용할 방법을 찾는 것이 지원체계 변화의 필수인 것이다.

왜 제작 극장인가?

먼저 풀어야 할 오해, 제작 극장이면 대관은 할 수 없는가? 아니다.

제작 극장은 글자 그대로 제작이 가능한? 제작을 주 목적으로 하는? 것인데 그러기 위해 제작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완벽하게 갖출 수도 부분적으로 갖추고, 외주를 일부 겸할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제작 시스텡 즉 사람, 즉 예술가가 상주해야 한다는 것이다.

상주하는 방식은 직접 고용, 간접고용, 부터 한번에 여러단체가 돌아가며 극장을 공동으로 사용하는 방식, 예술감독의 임기와 타 예술가의 임기를 맞추는 방식, 예술감독과 연출부만 고용하고 오디션을 통해 선발하는 방식 등 매우 다양하고 또 한가지 방식으로 통일 시킬 필요도 없다. 

 

나는 지금의 국공립단체 방식과 상주단체제도를 병행하면서 몇년 단위로 순환하는 것을 제안하고 싶지만, 이 부분은 섬세한 많은 논의를 통해 최상의 방법을 찾아야 한다.

보조금 사업으로 줄세우기 하지 않고, 사업 아닌 단체를 지원하는 방식, 다음 보조금사업에 선정되기 위해 대학로로만 몰리지 않고, 또 대학로로 몰릴 이유가 없는 방식, 주민과 함께 지역에서 지역극단으로 성장하는 방식, 공공극장의 제작극장화가 필수라고 믿는다.

최근의 모든 정부는 향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예산을 늩리고 있다. 문화누리카드, 청년문화패스, 그리고 6800억 예술위 예산의 절반 정도가 사실상 향유예산이라는 말도 들었다. 그런데 그 많은 향유예산의 대부분이 어디로 가고 있을까? 어떤 공연으로 쏠리고 있을까? 통계자료를 공개하지 않아 알 수 없지만, 홍보력 없는 영세 공연은 아닐 것 같다. 

 

향유 예산은 향유자의 선택을 존중해야 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향유자에게 제대로, 공정하게 선택지를 주고 있는지도 살펴봐야 한다. 우리 시장이 그 만큼 공정한 시장이 아니라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향유자의 선택이란 미명하에 매년 막대한 예산을 대형기획사에 몰아주고 있는 것은 아닌지.

다음은 예산의 문제다.

쉽지 않은 부분이지만 일단 현재 낭비되고 있는 수많은 보조금 사업예산을 이쪽으로 돌리고, 각지자체장들이 사용하는 자기 홍보성 축제 예산을 삭감하면, 현재의 예술 예산에서 조금만 늘려도 될 것이다. 

 

사실 우리는 이미 일년에 1억 정도 지원하는 상주예술단체제도를 갖고 있다. 너무 소수라 없는 것과 다름 없지만. 이걸 예산을 조금만 늘리고, 기간을 안정적으로 보장해주고, 극장을 자유롭게 내것처럼 쓰게 해주다면. 그것만으로도..,

예술단체가 지역의 공공극장에서 안정적으로 성장한다면 자급률을 높여갈 수 있다고 본다. 즉 지역의 공공 극장을 베이스로 제작 극장화를 하는 이유는, 즉 지역으로 분산해야하는 이유는, 관객 개발과 시장형성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어떤 분들은 말 한다. 동네 극장에 관객 안와요? 나는 대답한다. 가뭄에 콩나는 듯 공연하는 극장에 관객이 오는게 이상하죠?

그렇게 자급률을 높여야 한다. 즉 공공극장의 제작극장화가 영세 단체의 지원금을 늘려 달라는 생떼가 아니라 수입을 늘리기 위한 토대를 만드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믿는다.

하나 바로 잡고싶은 것, 꼭 공공극장만은 아니라 민간 극장도 제작극장화 지원 체계에 들어 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 민간극장이 지역에서 차지하는 기능과 역할에 따라 공공극장으로 대우를 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부분은 후에 또 길게 얘기하기로 하고.

더 많이 차근 차근 얘기 해야겠지만, 국공립단체 몇개 늘리는 것은 상상하지 않았으면 한다. 전체 지원 체계를 보조금 사업 에서 제작 극장화로 전면적인 개혁으로...

나의 짧은 생각에 더해, 더 많은 좋은 의견들로 채워지고 수정되어, 예술가를 무시하는 보조금 사업의 굴레를 벗어나는 논의의 시작이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4차산업행정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